장성민의 시사탱크 프로그램 이미지

시사

장성민의 시사탱크

세상을 듣는 귀!
세상을 보는 눈!
시사토크의 새로운 장이 열린다!
























장성민의 시사탱크 - 참여 게시판

장성민의 시사탱크 - 참여 게시판
대한민국에 오만한 지나국의 경제위기라면 천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2016.01.29 윤*현 조회수 208


0

0




세계 각 국이 경제위기를 해소하는 길은 국가예산의

일부를 선순환 경제차원에서 각 국가의 국민에게

배당하는 일이다! 그것이 세계 양극화 해소의 길이다!

지나국도 국민배당제를 실시하여 인민을 살리고,


대한민국 중심의 한반도 통일을 공식 지지선언하고,

동아시아 영구 평화공존을 위해서 통일한국 후에

대립 갈등하게 될 영토분쟁문제로써 100년 전

대한민국의 영토인 만주를 요하를 경계로 통일

대한민국에 반환한다는 맹약을 공개적으로 해야 한다.


 
위안화 가치 절하로 수출부양을 해야 할 만큼 중국 경제가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 : 몽키랩 DB>

중국 증시는 지난 4일과 7일 조기 폐장할 만큼 폭락했다. <사진 : 블룸버그>


주가 폭락 ‘증시 문제’ vs ‘경착륙 우려 반영’

중국의 경기둔화가 글로벌 경기회복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중국의 2015년 GDP증가율(6.9%)은 1990년 이후로 가장 낮은 수준이다. <사진 : 조선일보 DB>



중국 당국자들은 성장률 둔화를 경제위기로 연결시키는 건 무리라고 지적한다. 왕 바오안(王保安)중국국가통계국장은 “중국 경제가 중고속 성장하는 신창타이(新常態·new normal)에 적응하는 단계에 진입했다. 혁신을 성장동력으로 삼고, 구조를 고도화하는 전환기에 성장 속도 둔화는 필연적인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자동차가 커브 길에서 속도를 줄이지 않으면 길 바깥으로 튕겨나갈 수 있는 것과 같은 이치다. 왕 국장은 또 “(철강·시멘트처럼) 에너지를 많이 쓰는 업종의 성장 속도를 둔화시키지 않으면 환경오염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느냐”고 반박한다.


하지만 “중국은 주요 (경제) 조정 문제를 갖고 있으며 이것이 위기에 이르렀다. 금융 시장을 보면 2008년에 겪은 일들을 상기시키는 심각한 도전이 있다”(조지 소로스)는 경고도 나온다. 세계은행(WB)이 올해 글로벌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3%에서 2.9%로 최근 인하한 배경에도 중국이 있다. 세계은행은 지난해 6월만 해도 올해 중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7%로 잡았지만 이를 6.7%로 낮추면서 글로벌 성장률 전망치도 내렸다. 중국은 GDP 규모로는 미국 다음으로 세계 2위지만 세계 GDP 증가분 기여도는 25%를 웃돌아 세계 1위다. 중국을 최대 교역 대상국으로 둔 나라가 한국 등 140여개국에 이른다. 중국의 경기둔화가 글로벌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지난 19일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2015년 GDP 현황’은 이 같은 우려를 부추긴다. 중국의 작년 GDP 증가율이 6.9%로 정부 목표치(7% 안팎)에 근접했지만 텐안먼(天安門) 사태 충격이 가시지 않던 1990년(3.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기 때문이다. 2011년부터 5년 연속 성장률이 둔화된 것이다. 게다가 작년 4분기 성장률 6.8%는 블룸버그통신이 전문가들을 상대로 조사한 전망치(6.9%)와 3분기 성장률(6.9%)을 모두 밑돌았다. 작년 여름까지만 해도 금리 인하 같은 부양책 효과가 가시화돼 하반기에 중국 경기가 반등할 것이라고 입을 모은 중국 당국자들의 기대와 상반된 모습이다. 중국 인민은행은 2014년 11월 이후 지난해 10월까지 6차례의 금리 인하와 5차례의 은행 지급준비율 인하를 단행했지만 ‘바오치(保七·7% 이상 성장률 유지)’시대의 폐막을 막지 못한 것이다.



문제는 중국 경제에 가해지는 하강 압력이 올해에도 적지 않다는 것이다. 중국 경제의 성장 속도 마지노선은 6.5%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해 11월 중국 공산당 18기 중앙위원회 제5차 전체회의에서 13차 5개년(2016~2020년) 계획 건의안을 설명하면서 “2020년까지 1인당 주민소득을 2010년의 두 배로 늘리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매년 6.5% 이상의 성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무라증권은 올해 중국 경제가 5.8%, 내년에는 5.6% 성장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바클레이즈의 중국 성장률 전망치도 올해 6.0%와 내년 5.8%로 갈수록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당국이 고시환율 기준으로 연초 위안화를 절하하자 중국 경제가 위안화 절하로 수출 부양을 해야 할 만큼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된 것도 중국 경제 전망이 취약한 탓이다.



댓글 0

(0/100)
  •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