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세상을 듣는 귀!
세상을 보는 눈!
시사토크의 새로운 장이 열린다!
지나족에 차별받아 온 조선족은 대한민국 국민 |
---|
2016.02.05 윤*현 조회수 284 |
고구려 개국성조 고추모의 유훈/하늘의 도(순리와 양심)로써 백성을 다스려라! 통일 코리아를 갈망하며 제사받기 원하시는 광개토태왕 우물안 개구리들 정당이나 정치는 미래가 없다...인구수도 늘이고 경제도 키우고 영토도 늘이는 차원의 파이를 키우는 대국정치를 하자! 부자들 감세나 해 주면서 양극화 저출산으로 결국 나라가 망하는 차원에서
경제적으로 고통당하고 죽어 가는 국민에게 실질적인 국민배당도 못하면서
경제민주화니 격차해소니 하는 소리들은 다 말장난 정치에 불과하다고 본다..
돈은 돌아야 하는 것이고 나누어야 백성의 얼굴에 웃음이 피고 경제는 순환한다..
국민을 살리는 실용정치가 최고이지, 실질적 도움도 못주는 민주정치라면 꽝이다!
[뉴스 보도자료] 중국 동포들의 설맞이 행사입니다. 우리 한복과 중국의 치파오가 함께 있는 게 이색적이죠. 먼 친척에서 가까운 이웃이 된 70만 중국 동포. 오늘 앵커의 눈에서 들여다볼 텐데요. 먼저 김재영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리포트 ▶ 한 해 10만 명의 중국 동포가 오가는 서울 대림동 거립니다. 떡판에 옛날식으로 떡메를 치고 다른 한편에선 중국식 빵을 튀겨내는 독특한 풍경이 자연스럽게 섞입니다. 설을 준비하는 중국 동포들도 이곳을 찾습니다. [강하림] 명절 음식을 장만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 만두 빚기는 늘 빠지지 않습니다. [조정옥] 족발과 순대가 오르는 상차림은 조금 다르지만, 이웃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는 건 우리와 다르지 않습니다. [손옥녀/79살] ◀ 앵커 ▶ 간판들만 보면 중국 어디쯤인가 싶지만 서울입니다. 전문 장례업체까지 있을 정도로 이 지역에 사는 동포들이 많다는데요. 모여 사는 곳도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국에 체류하는 중국 동포가 그만큼 증가했기 때문인데요. 작년 말 기준으로 64만 7천 명,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까지 더하면 7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 앵커 ▶ 이 영화 혹시 보셨습니까. 중국 동포들이 등장하는 영화들인데요. 돈을 위해 서슴지 않고 살인을 하는 것처럼 그려집니다. 실제 한 설문결과를 보면, '조선족'이란 단어에 대해 경계해야 할 사람, 가난한 사람이라는 인식이 많았습니다. 직접 경험해서라기보다는 언론을 통해 갖게 된 생각이었습니다. ◀ 앵커 ▶ 또 포털 사이트 댓글이나 블로그를 보면요. 중국 동포를 노골적으로 비하하는 발언이 적지 않습니다. '범죄자가 많다?' 사실이 아닙니다. 지난해 경찰이 입건한 한국 국적자는 인구 1천 명당 38.6명이었습니다. 하지만 중국 동포를 포함한 중국인은 23.9명으로 훨씬 적습니다. 현실에선 공장과 음식점, 건설현장에서 성실하게 일하는 사람이 대부분이죠. ◀ 앵커 ▶ 최근에는 한국에 터를 잡는 동포들도 늘고 있습니다. 이젠 한국이 단지 돈을 버는 동안만 다녀가는 곳이 아닌 거죠. 박영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11년 전 스물여섯 나이로 한국에 온 계명연씨. [계명연] 쉬는 날 없이 일하며 돈을 모으고 작은 첫 가게, 식료품점을 열며 삶을 꾸린 곳, 바로 한국이었습니다. 3년 전 음식점을 하나 더 차려 열다섯 명 종업원을 둔 어엿한 사장님. [계명연] 헤이룽장성 출신의 여행사 직원 이란 씨. 한국을 잘 아는 조선족이다 보니 한국 전통문화를 체험하려는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제격입니다. 등록금을 모아 야간대학에 다니고 또 가족들과 살 우리 집을 마련하고 한국에서의 미래를 꿈꾸고 있습니다. [이란] ◀ 앵커 ▶ '이란'씨 바람과 달리 젊은이들 사이엔 엉뚱한 오해가 또 있다면서요? ◀ 앵커 ▶ "우리 민족이 아니"라는 말, 역시 사실이 아닙니다. (원래 고향이 어디십니까?) ◀ 앵커 ▶ 우리네 시골 어른들 같죠? 중국 현지의 동포들인데요. 실제 중국 곳곳에 '경상도' 마을, '충청도' 마을이 있습니다. 19세기 접경지역 주민들이 개척을 시작했고 나라를 잃고 나서는 독립운동을 위해 많은 애국지사들이 건너갔습니다. 또 일제 말기엔 농민 15만 명이 만주지역으로 이주되기도 했습니다. ◀ 앵커 ▶ 먼 중국 땅에서도 우리 말과 글을 지켜 온 건데요. 그런데 교류가 활발해진 지금은 오히려 상황이 달라졌다고 합니다. 한국에 와서도 아이들이 별다른 교육을 받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다는데, 나세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중국 동포 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학교. 중국 내 조선족 학교가 줄면서, 한국에서 처음 한글을 접하는 학생이 대부분입니다. [박성용] 자원봉사자들을 만난 이 아이들은 그나마 운이 좋은 편입니다. [곽재석/한중사랑학교 교장] 거리에선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 아이들을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중국 동포 청소년] 한국에 들어온 학령기 중국 동포 아이들은 2만 3천여 명. 이 중 학교에 다니는 건 1만 명뿐입니다. 나머지 1만 3천 명은 어디에서, 어떻게 지내는지 파악도 안 되고 있습니다. [김 모 양] ◀ 앵커 ▶ 중국 동포들, 낯선 면도 있겠죠. 그런데 설을 준비하는 모습까지 이렇게 우리와 닮았습니다. 오래 못 보고 지냈어도 모이면 금세 웃고 떠들고 정을 나누게 되는 것, 가족이기 때문인데요. 흩어졌던 핏줄이 모이는 설 명절, 이제 사흘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
|
댓글 0
댓글등록 안내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