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보수 논객 전원책 변호사가 진행하는고품격 시사 토크쇼 시즌 2
정치권의 정쟁 정략에서 벗어나 국민의 삶에 직접 영향을 주는 정책을 분석하는
살아있는 정치 비평 프로그램을 지향한다.
부여(단군한국)과 은나라(중국)은 풍습동일했던 한민족 |
---|
2017.04.28 윤*현 조회수 460 |
위 기록은 고대 중국인들이 부여풍습를 기록한 내용인데, 부여(고구려)풍습은 곧,단군한국의 풍습으로 우리 DNA에 저장되어 이어진 한민족의 풍습인 것이다.
하늘(조물주 하나님)에 제사를 지내고, 제천 후에 온 백성들이 음주가무를 즐기고, 천손족답게 흰 옷을 입고, 평상시에도 노래를 즐기며 살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흰색은 역시 부여(고구려)에서 나온 몽골과 백제(일본)인들이 숭상한 색이다.
또한 여성들이 현재 중동 여성들처럼 베로 짠 얼굴 가리개를 하였고, 순장을 하고 형이 죽으면 형의 아내인 형수를 동생이 아내로 삼았다는 내용은 은나라와 고구려와 흉노(신라)와 동일한 풍습으로 근원이 단군한국이였던 부여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단군한국(부여)과 은나라는 요하 홍산문명을 공유한 한민족이였음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부여의 풍습은 뿌리로 올라 가면 상투틀고 옥을 중시한 홍산 한민족의 풍습임을 알 수가 있고, 홍산문명의 뿌리로써 1만년 이전의 서남해 지역의 마고한민족 풍습임을 알 수가 있다./대한민국 지성-윤복현 삼국지/위서-부여전
去玄?千里 현도로부터 천 리 떨어져 있다. 南與高句麗 남쪽에는 고구리(高句麗)가 있고 東與?婁 동쪽에는 읍루(?婁)가 있으며 西與鮮卑接 서쪽에는 선비(鮮卑)와 맞닿아 있다. 北有弱水 북쪽에는 약수(弱水)가 흐른다. 方可二千里 둘레가 이천 리다. 戶八萬 가구(家口) 수는 팔 만이다. 其民土著 백성들은 원래 그 땅에 살던(土著) 사람들이다. 有宮室倉庫牢獄 궁궐(宮室)과 창고(倉庫)와 감옥(牢獄)이 있다. 多山陵廣澤 산, 언덕, 큰 못이 많다. 於東夷之域最平敞 동이(東夷) 땅 중에서 가장 평평하고 탁 트였다(敞). 土地宜五穀 땅에서는 오곡(五穀)이 잘 자란다. 不生五果 오과(五果)는 나지 않는다. 其人粗大 그 사람들은 덩치가 크다(粗大). 性强勇謹厚 성질은 강하고 용감하며 조심스럽고 중후하다. 不寇? 남의 물건을 뺏지 않는다. 國有君王 나라에는 임금(君王)이 있다. 皆以六畜名官 모두 여섯 종류의 짐승 이름으로 벼슬아치 이름을 삼는다. 有馬加牛加?加狗加 마가(馬加), 우가(牛加), 저가(?加), 구가(狗加), 大使大使者使者 대사(大使),대사자(大使者), 사자(使者)가 있다. 邑落有豪民 마을(邑落)에는 우두머리(豪民)가 있다. 名下戶皆爲奴僕 신분이 낮은 백성들은 머슴(奴僕)이라고 부른다. 諸加別主四出 뭇 우두머리들은 각자(別) 곳곳에서(四出) 대장노릇(主)을 한다. 道大者主數千家 큰 구역(道大)을 맡은 이는 수천 집을 다스리고 小者數百家 작은 구역을 맡은 이는 수백 집을 다스린다. 食飮皆用俎豆 음식을 먹을 때는 모두 제사그릇(俎豆)을 사용한다. 會同拜爵洗爵揖讓升降 모이면 술잔에 절하고 술잔을 씻고 서로 절하고 사양하면서(술잔을) 들었다 놨다 한다. 以殷正月祭天 은(殷)나라 정월달에 하늘에 제사 지내는데 國中大會 나라 가운데에 (사람들이) 엄청 많이 모여 連日飮食歌舞 며칠 동안 계속 먹고 마시고 노래 부르고 춤춘다. 名曰迎鼓 이를 영고(迎鼓)라 부른다. 於是時斷刑獄 이때는 벌 내리는 것(刑獄)을 그치고(斷) 解囚徒 죄수들(囚徒)을 풀어준다. 在國衣尙白 그 나라에서는 흰 옷을 숭상한다. 白布大袂袍袴 흰 베로 넓은 소매(大袂), 도포(袍), 바지(袴)를 만든다. 履革? 가죽 신발을 신는다. 出國則尙繒繡錦? 나라 밖으로 나가면 비단 옷과 비단 방석을 높이 친다. 大人加狐狸?白黑貂之? 지체 높은 사람들은 여우(狐), 삵(狸), 흰원숭이(?白), 검은 담비(黑貂)의 가죽으로 만든 옷을 덧대 입는다. 以金銀飾帽 금과 은으로 모자를 꾸민다. 譯人傳辭 통역자(譯人)가 말을 전할 때는 皆?手據地竊語 모두 무릎을 꿇고 손으로 땅을 짚고 조용히 말한다. 用刑嚴急 형벌(刑)을 집행할 때는 엄격하고 신속하게 한다. 殺人者死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하고 沒其家人爲奴婢 그 집안 사람들은 잡아들여 노비(奴婢)로 만든다. 竊盜一責十二 물건을 훔치면 하나에 대해 열두 배로 갚게 한다. 男女淫婦人? 음탕한 남녀와 시샘하는 여자는 모두 죽인다. 皆殺之 尤憎? 시샘하는 것을 특히 싫어하여 已殺 (시샘하는 여자가) 이미 죽었어도 屍之國南山上 나라 남쪽의 산 위에 송장을 버리고 至腐爛 썩도록 내버려둔다. 女家欲得 여자 집에서 (송장을) 거둘려고 하면 輸牛馬乃與之 소와 말을 가져가야 송장을 내준다. 兄死妻嫂 형이 죽으면 (동생은) 형수를 아내로 삼는다. 與匈奴同俗 (이 풍속은) 흉노(匈奴)의 풍속과 같다. 其國善養牲 그 나라는 가축(牲)을 잘 기른다. 出名馬赤玉貂?美珠 훌륭한 말, 붉은 옥, 담비, 원숭이, 영롱한 구슬이 난다. 珠大者如酸棗 구슬이 큰 것은 멧대추 만하다. 以弓矢刀矛爲兵 무기로는 활, 화살, 칼, 창이 있다. 家家自有鎧仗 집집마다 갑옷과 무기를 갖추고 있다. 國之耆老自說古之亡人 그 나라의 늙은이들(耆老)은 자신들을 "옛날에 도망친 사람(亡人)"이라고 일컫는다. 作城柵皆員 성(城)과 목책(柵)은 모두 둥글게 만든다. 有似牢獄 (생김새가) 감옥(牢獄)과 흡사하다. 行道晝夜無老幼皆歌 길을 갈 때는 밤낮으로 늙은이, 젊은이 구별없이 모두 노래 부르니 通日聲不絶 하루종일 노랫소리가 끊이지 않는다. 有軍事亦祭天 싸움(軍事)이 있을 때도 하늘에 제사를 지낸다. 殺牛觀蹄以占吉凶 소를 잡아 발굽을 보고 길흉(吉凶)을 점치는데 蹄解者爲凶 발굽이 갈라져 있으면 나쁜(凶) 것으로 여기고 合者爲吉 발굽이 붙어 있으면 좋은(吉) 것으로 여긴다. 有敵 적이 나타나면 諸加自戰 뭇 우두머리들(諸加)은 자진해서 싸우러 간다. 下戶俱擔糧飮食之 신분이 낮은 사람들은 모두 양식을 짊어지고 가서 병사들을 먹인다. 其死 사람이 죽으면 夏月皆用 여름철에는 모두 얼음을 쓴다. 殺人徇葬 사람을 죽여 순장(徇葬)하는데 多者百數 많을 경우 백여 명에 이른다. 厚葬 장례(葬)를 성대(厚)히 치를 때는 有槨無棺 관(棺)을 쓰지 않고 덧널무덤(槨)을 쓴다. 魏略曰: 위략(魏略)에서 말한다 : 其俗停喪五月 그 나라 풍속에 다섯 달 동안 (주검을 묻지 않고) 상(喪)을 멈춘다. 以久爲榮 (이 기간이) 길면 길수록 훌륭하다(榮)고 여긴다. 其祭亡者 죽은 이(亡者)를 제사 지낼 때는 有生有熟 (음식으로) 날 것도 쓰고 익힌 것도 쓴다. 喪主不欲速而他人强之 상주(喪主)는 상(喪)을 서두르지 않는데 다른 사람들이 독촉(强勸)한다. 常諍引以此爲節 늘 밀고 당기며 다투는데 이를 예의(節)로 여긴다. 其居喪 상을 치를(居喪) 때 男女皆純白 남녀 모두 순백(純白)의 옷을 입는다. 婦人著布面衣 여자들은 베로 짠 얼굴 가리개를 한다. 去環? 가락지(環)와 노리개(?)는 버린다. 大體與中國相?佛也 대체로 중국(의 풍속)과 서로 비슷하다.
두 마리는 어디 갔을까? 윷놀이에서 말판 자리 이름이 도(?), 개(狗), 걸(象), 윷(牛), 모(馬)이므로 잃어버린 두
사출도(四出道)라고 읽으면 중앙에서 사방으로 큰 길이 네 개 나 있는데, 우두머리들이 그길을 하나씩 맡아 다스리고 있다는 뜻이 된다.
사출(四出)이라고 끊어 읽으면 사출(四出)은 "곳곳에서"라는 뜻의 부사(副詞)로 해석되고 도(道)는 경상도(慶尙道), 충청도(忠淸道), 전라도(全羅道)할 때의 도(道), 즉 구역(區域,district)으로 해석되므로 전체 글월은 "우두머리들이 각지(各地)에서 자기 영역을 다스리는데, 땅이 큰 데는 수천 집을 다스린다"라는 뜻이 된다.
평소에 제사그릇을 쓴다는 것은 그만큼 부여(夫餘)가 부유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몽골 사람들은 아직도 사냥꾼들이 짐승의 발굽을 태워점을 치고 있었다. 부여(夫餘), 상(商), 몽골 서로 문화적 연관성이 느껴진다. |
댓글 0
댓글등록 안내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